※ 본 통계는 농업안전보건센터에서 일부지역에 한정하여 조사된 자료임
일반 특성
일반 특성 | 인적사항 | ㆍ성별 | ㆍ연령 | ㆍ가구원수 |
---|---|---|---|---|
ㆍ학력수준 | ||||
농업활동 | ㆍ농업종사수준 | ㆍ농업종사기간 | ㆍ농업활동기간 | |
ㆍ주요 작목 | ㆍ농업종류 | ㆍ농업규모 | ||
ㆍ농업기간 | ㆍ가구총소득 | ㆍ농업소득비율 | ||
건강관리행동 | ㆍ음주빈도 | ㆍ음주량 | ㆍ흡연현황 | |
질병 및 농작업 관련성 | ㆍ질병경험여부 | ㆍ의사진단여부 | ||
기타 일반 특성 | ㆍ신장체중 | ㆍ혈압 | ㆍ여성력 |
재해 및 질병 특성
재해 및 질병 특성 |
호흡기 (경기센터,한양대학교) |
ㆍ호흡기 증상 | ㆍ호흡기질환 조절 상태 | ||
---|---|---|---|---|---|
작업기인 허리 (강원센터,강원대병원) |
ㆍ근골격계 통증 | ㆍ농업사고 | ㆍ농작업생활환경관리 수준 |
||
ㆍ생활관리 | |||||
일광ㆍ자외선노출 (충북센터,충북대병원) |
ㆍ농작업 노출시간 | ㆍ열성질환 증상 | |||
무릎골관절염 (전남센터,조선대병원) |
ㆍ무릎통증의 정도 | ㆍ무릎일상생활의 어려움 | ㆍ건강관련 삶의 질 | ||
상지 근골격계 (경남센터,경상대병원) |
ㆍ본인인지 건강상태 | ㆍ건강수준 | ㆍ수지 관절염의 삶의 질 | ||
ㆍ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별 노출 비중 |
|||||
농약중독 (충남센터,단국대병원) |
ㆍ농약 사용 및 살포작업 시 보호장구 사용 빈도 |
ㆍ농약중독 증상 경험 | ㆍ농약중독 증상 경험 시 보호장구 사용 개수 |
||
ㆍ농약사용 및 살포작업시 준수사항 정도 |
|||||
감염병질환 (경북센터, 동국대학교) |
|||||
재배 농업인 |
ㆍ농작업 시 안전장비 사용 | ㆍ감염병 질환 인지도 | ㆍ감염병 질환 인지 경로 | ||
ㆍ감염병 질환 예방 인지도 | ㆍ감염병 질환 유병률 | ||||
축산 농업인 |
ㆍ작업 및 작업환경관리 | ㆍ인수공통감염병 인지도 | ㆍ인수공통감염병 인지 경로 |
||
ㆍ인수공통감염병 예방 인지도 |
ㆍ결핵 치료 인지도 | ||||
농작업손상 (제주센터, 제주대학교병원) |
|||||
응급실 손상 감시 체계 | ㆍ응급실 진료결과 | ㆍ손상기전 | ㆍ손상장소 | ||
응급실 기반 농업인 작업 손상 | ㆍ농작업 관련 손상 예방 인지도 |
ㆍ손상발생장소 | ㆍ농작업 안전관련 특성 | ||
무릎 근골격계 질환 (공통지표) |
|||||
한달 동안 무릎 부담 작업 시간 | ㆍ무릎 부담 작업 자세 (쪼그려 앉거나, 무릎 꿇은 자세) |
ㆍ허리/무릎 부담작업 자세 (서서(허리와) 무릎을 굽히는 자세) |
ㆍ사다리/경사로 작업 (사다리, 언덕 또는 경사로를 오르내리는 작업) |
||
ㆍ중량물 작업 시간 (10Kg 이상의 중량물(농사물)의 반복적 작업) |
ㆍ총 무릎 부담 작업 시간 | ||||
무릎 관절의 통증 | ㆍ무릎통증의 정도 | ㆍ무릎 뻣뻣함의 정도 | ㆍ일상생활의 어려움 | ||
ㆍ무릎통증 여부 |
|||||
농약중독 (공통지표) |
ㆍ처음 농약 살포 연령 | ㆍ총 농약 살포 또는 사용 기간 | ㆍ농약 살포시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이유 | ||
ㆍ농약 노출 이후 증상 |
ㆍ농약 직접 살포 여부 |
ㆍ농약 살포시 보호장구 사용 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