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안전365] 농약방제 개인보호장비 활용(농축산기계신문_김인수)
"미착용 시 최대 8배까지 농약노출"
개인보호구 착용으로 농약 노출경로 차단이 중요
방제복·마스크·보안경·보호장갑·보호장화 5종 필수
◆농약방제 개인보호장비 착용의 중요성
농약 노출로 인한 급성 및 만성중독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요 공중보건 문제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농업인과 같이 직업적으로 농약을 직접 살포하는 경우 위험성이 매우 높다. 개인보호구를 착용하지 않고 농약을 제조·살포 하면 최소 1.5배에서 최대 8배까지 농약 노출량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농촌진흥청, 2012).
◆농약방제 개인보호장비 종류와 활용
△농약방제복
농약은 피부를 통한 흡수가 가장 많으므로 몸 전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제복 착용은 중요하고, 특히 농약의 내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액체침투저항성이 우수한 방제복을 착용한다.
△호흡기 보호용 마스크
호흡기로 흡입되는 농약 노출을 막기 위해서는 농약 방제용 마스크 또는 흡착제 성분이 있는 활성탄소섬유 방진마스크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유해 성분이 높은 농약을 취급하거나 장시간 또는 일부 밀폐된 환경에서 살포할 때는 제독 능력이 높고, 호흡이 편한 양구형 방독마스크 사용을 권장한다.
△보안경(고글)
눈은 인체에서 중요한 부위이므로 농약을 다룰 때는 보안경 또는 고글을 항상 착용해야 한다. 보안경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농약이 눈으로 튀는 것을 방지해준다. 고글 선택 시에 김 서림 방지 성능, 넓은 시야 확보, 착용감이 좋고 안경 착용자는 안경을 착용 시에 적합한지를 확인해야 한다.
△보호장갑과 보호장화
손은 농약 노출에 가장 취약하므로 방수 기능이 있는 고무 재질의 장갑 중에서도 화학물질 및 물리적 유해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내화학용 장갑을 사용한다. 일반 면장갑은 방수가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고무 재질의 장갑을 사용하여야 하며, 작업자의 손에 맞는 장갑 착용을 권장한다.
발 부위는 농약 살포 시에 분사되는 농약이 아래로 흘러내려 노출되기 쉬운 부위로 고무재질 장화를 착용해야 한다. 착용 시에는 정강이까지 충분히 덮이도록 적절한 높이의 장화를 착용하고, 농약방제복 하의를 장화 위로 내려 장화 안으로 농약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출처 : 농축산기계신문 webmaster@alnews.co.kr
원문주소 : www.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