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업 유해위험요인 DB
농작업 유해위험요인 DB
농작업자는 작업을 하면서 근골격계 위험요인, 농약, 분진 등과 같은 다양한 유해요인에 노출이 됩니다.
작목을 클릭하시면 작목에서 수행하는 작업별로 유해요인의 노출수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작목
- 작업
위험요인
작업 | 근골격계위험요인 | 분진(㎎/㎥) | 엔도톡신(EU/㎥) | 농약(㎍/hr/㎠) | 가스 | 온열 (WBGT 30℃이상 시간대) |
소음(dBA) | ||||||||||
---|---|---|---|---|---|---|---|---|---|---|---|---|---|---|---|---|---|
측정값 | 유사노출군 | 사진 | RULA 원시데이터 | 측정값 | 유사노출군 | 측정값 | 유사노출군 | 측정값 | 농약 원제명 | 유사노출군 | 측정값 | 유사노출군 | 측정값 | 유사노출군 | 측정값 | 유사노출군 | |
작목 및 작업을 선택하여 주세요. |
허용기준
근골격계위험요인
- RULA : Lv1 (= 안정) : 1-2점 , Lv2 (=지속적 관심) : 3-4점 , Lv3 (= 개선) : 5-6점 , Lv4 (=즉시 개선) : 7점
- REBA : Lv0 (= 위험도 없음) : 1점 , Lv1 (= 낮음) : 2-3점 , Lv2 (= 보통) : 4-7점 , Lv3 (= 높음) : 8-10점 , Lv4 (= 매우높음) : 11-15점
- AWBA : Lv1 (= 중간) : 1-1, 1-2, 1-3 , Lv2 (= 조금 높음) : 2-1, 2-2, 2-3 , Lv3 (= 높음) : 3-1, 3-2, 3-3, 3-4 , Lv4 (= 매우 높음) : 4-1, 4-2, 4-3, 4-4
RULA, REBA, AWBA는 작업 자세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위험성을 인간공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도구입니다.
- RULA : 인간공학적 상지자세 평가 도구 -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
- REBA : 인간공학적 전신자세 평가 도구 -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 AWBA : 농업 맞춤형 전신자세 평가 도구 - Agricultural Whole-Body Assessment(AWBA)
분진(㎎/㎥)
- 환경부 24시간 평균 PM10 허용기준 : 100 ug/m³
- 노동부 총분진 허용 기준 : 10 mg/m³
엔도톡신(EU/㎥)
- 유럽 권고기준 : 50 EU/m³
가스
- 노동부 8시간 평균 암모니아 허용기준 : 25 ppm
- 노동부 8시간 평균 황화수소 허용기준 : 10 ppm
- 노동부 8시간 평균 일산화탄소 허용기준 : 30 ppm
온열(WBGT)
작업휴식시간비 | 경작업 | 중등작업 | 중작업 |
---|---|---|---|
매시간 75%작업, 25%휴식 | 30.6 | 28 | 25.9 |
매시간 50%작업, 50%휴식 | 31.4 | 29.4 | 27.9 |
매시간 25%작업, 75%휴식 | 32.2 | 31.1 | 30 |
계속작업 주:
- 경 작 업:200kcal까지의 열량이 소요되는 작업을 말하며, 앉아서 또는 서서 기계의 조정을 하기 위하여 손 또는 팔을 가볍게 쓰는 일 등을 뜻함
- 중등작업:시간당 200~350kcal의 열량이 소요되는 작업을 말하며, 물체를 들거나 밀면서 걸어다니는 일 등을 뜻함
- 중 작 업:시간당 350~500kcal의 열량이 소요되는 작업을 말하며, 곡괭이질 또는 삽질하는 일 등을 뜻함
소음(dBA)
1일 노출시간(hr) | 소음강도 dB(A) |
---|---|
8 | 90 |
4 | 95 |
2 | 100 |
1 | 105 |
30분 | 110 |
15분 | 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