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정의
제 7 뇌신경인 안면신경에 마비가 오는 것이다.
안면신경은 전기적 자극을 얼굴에 분포한 근육으로 전달하여 얼굴에 표정을 짓게 하며,
눈물샘, 침샘, 귓속의 등골 등에도 분포하고 혀 앞쪽의 맛 감각을 담당한다.
2. 원인
크게 중추성 신경마비와 말초성 신경마비로 구분할 수 있다.
- 중추선 신경마비 - 뇌출혈,
뇌경색, 뇌종양 등의 뇌질환이 대표적
- 말초성 신경마비 - 벨(Bell)씨
마비,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측두골의 골절, 수술에 의한 손상, 중이염의
합병증 등
Tip) 여기에서 많은 수를 차지하는 벨(Bell)씨 마비는 특별한 원인이
없이 갑자기 얼굴 근육의 마비를 보이는 질환을 말한다.
3. 증상
안면신경이 마비되면 우선 눈을 잘 감을 수 없고, 말초성인 경우 이마에 주름을
잡기 힘들며, 코에서 입으로 이어지는 주름이 사라지고, 입이 마비의 반대측으로
끌려가게 된다. 즉 입이 돌아간다고 많이 말하게 되는데 실제 마비가 온 쪽은 반대측이
된다.
그 외에 안면경련, 한쪽으로 침이 흐르거나, 발음이 부정확해지고, 맛 감각의 변화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게 된다.
4. 진단
안면신경 마비의 원인, 마비의 부위 및 정도를 알기 위해 x-ray 검사,
혈액 검사, 눈물 검사, 등골근 반사 검사, 미각 검사, 타액 분비량 검사, 신경자극
검사, 신경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 청력 검사, 평형 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CT),
자기공명 영상 촬영(MRI) 등의 검사들을 발병 시기에 맞추어 시행할 수 있다.
5. 치료
1) 보존적 치료
- 약물치료 - 부신 피질 호르몬 제제, 항바이러스제, 혈관 확장제
등으로 마비된 안면신경의 회복을 도와주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안연고나 인공 눈물, 안대 착용 등을 시행
- 물리치료 - 전기자극 치료, 레이저 치료, 안면 마시지 등
2) 수술적 치료 - MRI 검사에서 안면신경의 주행경로에 뇌종양과 같은 병변이
보이는 경우, 안면신경 주위의 뼈를 제거하는 감압술 등을 시행하여
신경 회복을 도울 수 있다.
6. 기타 [ 주의사항 ]
- - 눈이 잘 감기지 않으면 결막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안대나 안경을 착용하세요.
- - 목욕 후에는 물기를 깨끗이 말리고, 찬바람이나 찬
자극을 피하세요.
- - 손으로 환측의 얼굴을 자주 비벼주세요.
- - 환측으로 껌 등을 자주 씹어 안면 운동을 하세요.
- - 초조한 마음을 버리고 과로나 음주를 피하세요.
[ 전문의와 상담해야 할
경우 ]
- - 안면신경마비 증상이 있는 경우
- - 치료 후에도 눈이 충혈되거나 자극이 있을 경우
- - 입 밖으로 침이 흐르는 것을 조절할 수 없을 경우
- - 통증이 심해질 경우
- - 38.3℃ 이상의 고열이 날 경우
[ 생활시 유의사항 ]
- 안면신경 마비에는 휴식이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정상적으로
생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