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의
신생아의 배꼽에 세균성 감염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배꼽은 처음에는 무균 상태이지만,
출산 과정이나 출산 후에 감염된다.
2. 원인
아기를 돌보는 사람의 손으로부터 배꼽으로 세균이 직접 전달되어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
다음 4가지 세균이 감염의 주요 원인균이다.
- 황색 포도상 구균
- 대장균
- B군 연쇄상구균
- 화농성 연쇄상구균
3. 증상
- 탯줄을 자르고 남은 끄트머리 중 복벽과 닿는 부위에 발적, 부종, 압통이
있다.
- 가끔 배꼽 주위를 둘러싸는 복벽에 고리 모양의 발적이 있다.
- 배꼽에서 좋지 않은 냄새가 난다.
- 배꼽으로부터 고름이 나온다.
- 증상은 보통 출생 2~3일 후에 시작한다.
4. 진단
위에 언급한 증상들을 보고 의사가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많은 의사들은 발적
부위의 크기(cm)를 축정해서 진단의 기준으로 사용한다.
5. 치료
보통 항생제를 근육 내 혹은 정맥 내 주사로 염증이 완전히 치료될 때까지 투여한다.
6. 기타
[ 비슷한 질환 ]
- 정상적인 경우에서도 탯줄 끄트머리와 복벽이 만나는 곳에서는 약간의 진물이
날 수 있고 약간의 냄새도 날 수 있다. 그러나 정상 배꼽인 경우 배꼽 주위를
둘러싸는 발적은 보이지 않는다.
- 탯줄 끄트머리가 떨어지고 난 후에도 약간의 핑크색 조각이 남아 있을 수
있고 여기서 약간의 혈액이 비칠 수 있다. 그러나 이 배꼽 조각의 주위를 둘러싸는
발적은 보이지 않아야 정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