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정의
이두근의 장두는 견관절 내에서 횡 인대로 덮인 이두근 구를 통과한다. 이 부위에 염증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 유발하는 질환이다.
Tip) 40대 초반의 여자에서 빈발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다.
2. 원인
상완이두건막염은 어깨 통증의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원인은 과도한 어깨 사용에 의한 손상으로 발생한 염증이며 심하면 탈구 혹은 파열될 수 있다.
그러나 고령층에서는 과도한 어깨 운동이 없는 상태라도 인대에 퇴행성 변화가 잘 오기 때문에 상완이두건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 견관절을 침범하는 염증성 질환에 의해 건초염 병변
- 활액낭초 자체에 염증변화(출혈, 부종, 세포침윤, 섬유화)가 나타나서 유착이 된다.
3. 증상
① 필수 증상
- 상완이두근구의 직접적인 압통
- 삼질 혹은 운동선수들이 공을 던질 때, 견관절의 이탈구시 갑작스런
통증
- 호발 연령 : 40세 초반의 여자에게 자주 발생, 통증은 서서히
시작하지만 삽질이나 운동 선수들이 공을 던질 때, 견관절의 이탈구 시
갑자기 통증이 심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② 수반 증상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의 경우 회전근개의 병변과
함께 나타나며 어깨 부위의 통증과 움직임 장애가 있다.
상완이두근이 팔꿈치 통증에 관여하는 부분
4. 진단
① 보존적 치료 : 안정,
NSAID투여, 통증을 유발시키는 운동 및 동작의 제한
② 수술 : 상완 이두건을
상완 이두근구에 고정시키거나 오구 돌기에 붙여주는 수술 시행
③ Speed test 양성 : 주관절을 신전하고 전완부를 외회전 할 때 통증이 유발되는 검사
④ Yergason's test 양성 : 주관절을 굴곡하고 일정한 저항에 대해 전완부를 외회전 할 때 통증이
유발되는 검사
5. 치료
① 보존적 치료 : 고정,
온열 요법, 운동 및 동작의 제한, NSAID의 투여 proacin 및 hydrocortison
주입
② 수술적 요법 : 상완
이두건을 상완 이두근구에 고정시키거나 오구 돌기에 붙여주는 수술 시행
6. 운동
통증완화, 휴식 및 지지가 주된 치료로 보조적인 치료로 가능하고 필요하면 단기간 팔걸이를
이용한다.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장기간 어깨 휴식을 취하게 되면 오십견과 같은 어깨 질환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세심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