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정의
힘줄에 비정상적으로 석회(칼슘, calcium)가 침착하여 통증 및 운동 장애
등을 일으키는 병을 석회화성 건염이라고 한다.
간혹 증상이 없이 석회가 침착하였다가 사라지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극심한
통증이 올 수도 있다. 가장 흔하게 석회가 침착하는 건은 극상근이며, 그 이외에도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 등의 건에도 침착한다.
2. 원인
매우 심한 어깨 통증의 하나이지만 그 원인은 아직 확실치 않다.
국소적인 산소 분압이 감소되면 석회 침착이 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염증이
일차적인 과정인지 미세한 건초 손상에 대한 이차적인 반응인지는 확실치 않다.
석회화성 건염은 퇴행성 질환이 아닌 것 같으며 많은 환자들 중에서 증상이 없어도
석회 침착을 볼 수 있다고 한다. 퇴행성 변화, 과도한 사용, 대사 이상, 회전근개의
혈관 감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조직학적으로 염증세포가 비교적 적게
보여서 통증은 염증에 의한 것도 있지만 화학적이나 기계적인 것에 의한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한다.
[ 석회화성 건염의 분류 ]
- 진행과정에 따른 분류
- 급성
- 만성
- 때로는 아급성(subacute)으로도 분류
- 방사선 소견에 따라 3가지 형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Ⅰ형 : 석회성 결절이 경계가 뚜렷한 가장자리
- Ⅱ형 : 경계가 희미하거나 뚜렷한 가장자리가 섞여 있다.
- Ⅲ형 : 경계가 희미한 가장자리나 어떤 것은 투명하다.
- 임상증상과 방사선 소견으로도 분류
- 제 1기 : 석회 침착이 건내에 한정되어 있어 증상이 없거나 약간 아픈
통증, 가벼운 운동 시 나타나는 통증만 있다.
- 제 2기 ; 석회 침착이 회전근개의 표면을 덮는 견봉하 점액낭의 직하에
유출되어 화학적, 기계적인 자극으로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 제 3기 : 석회 침착이 견봉한 점액낭을 파괴하고 점액낭염이 발생한다.
침착된 것은 탐식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배제되어진다. x-ray에서 견봉하
점액낭 하부에 침전되는 소견
- 제 4기 : 견봉하 점액낭염이 소실되고 침착, 유출 경로가 회복된다. 드물게
이 시기에 구축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3. 증상
- - 주로 극상근건에 발생
- - 갑자기 발생하는 극심한 통증
- - 과사용이 없이 발생
- - 체위나 운동과 상관없는 통증
- - 극상근의 상완골 대결절 부착부위에 극심한 압통점
- - 건강한 팔로 아픈 팔을 움직이지 않으려고 붙잡는다.
- - 회전 및 외전 운동은 현저히 제한되나 굴곡 및 신전운동은 거의 제한되지
않는다.
4. 진단
특징적인 증상과 석회가 침착한 곳을 눌러서 통증이 발생하는 소견이 있다. 흔히
방사선 촬영으로 하얗게 침착한 석회를 찾을 수 있다.
다만 뼈가 석회화된 부분을 가린 위치로 촬영을 하면 석회를 찾을 수가 없으므로,
이 병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다각도로 촬영을 해서 숨어있는 석회를 찾으려 노력하는
것이 좋다.
5. 치료
대개 7~10일이면 자연적으로도 호전될 수도 있다. 자연치료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많지만 6.4~32% 정도라고 한다.
통증이 심하면 급성기나 아급성 시기에는 증상이 오래되면 스테로이드 주입, 바늘로
천자, 관절경에 의한 칼슘 제거 Ⅱ형이 천자 흡인에 가장 잘 반응한다. 치료효과는
극적인 경우가 많다.
-
- 제 1기 :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운동을 금하고 진통소염제 사용
- - 제 2~3기 : 견봉하 활액포 내에 스테로이드, 천자 흡인, 세정
- - 방사선 투시하 흡인
- - 초음파 가이드 주사 흡입(J Bone Joint Surg Br 2005;
87-B: 501-507)
- - 증식요법(플로로테라피)
- - 메조세라피(EDTA, 칼시토닌)
- - 고에너지 shockwave 요법(성공률:15~70%)
- - 어깨 관절경하 제거
- - 수술
- - 재활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