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정의
요부 신경 근성병증이란 허리에서부터 엉덩이와 다리의 뒤쪽, 옆부분을
따라 고루 퍼져 내려가거나 또는 올라가는 통증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요부 신경 근성 병증이라는 것은 좌골 신경이 어느 곳에서나 문제가
생기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으로 진단명이라기 보다 증상들의 묶음을 대표하는
말이다.
좌골 신경통의 요인으로 가장 많은 것은 척추와 관련된 질환들이고 그 중에서
추간판 탈출증이 대표적이다.
Tip) 우리 몸 안에서 가장 크고
굵은 말초신경으로 다리의 뒷부분과 무릎 아래의 신경기능을 주로 담당하므로 길이가
길고 몸 표면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압박을 받기 쉽다.
2. 원인
좌골신경통은 요추 4, 5번이나 척추신경의 어떤 병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원인은 여러 가지이다. 그렇기 때문에 좌골신경통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4, 5번 요추신경이나 척추신경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원인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추간판이 바깥쪽으로 튀어나와 좌골 신경을 자극하는 디스크에 의한 것(추간판
탈출증)과 좌골신경 자체가 자극되어 질환이 발생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좌골신경통은 척추뼈 사이의 구멍에서 나오는 신경근의 압박이나 염증
등에서 일어나는 신경통이나 증상은 어느 신경이 어느 정도의 장해를 받느냐에
따라 다르고, 둔한 통증이 계속되면 허리가 삐걱한 것처럼 격렬한 통증이
일어나기도 하며, 발이 저리거나 반사저하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Tip) 좌골신경통은 몸에서 가장
긴 좌골신경의 염증에 기인한다.
3. 증상
다리의 뒷부분 또는 발등, 발바닥에 걸쳐 통증을 느끼며 특히 기침할
때 다리를 펴거나 구부릴 때 통증이 유발되고 송곳으로 뚫는 듯이 찌릿찌릿하거나
짓누르는 느낌이 나기도 한다.
심한 통증이 허리에서 다리에 걸쳐서 나타나게 되는데 종종 다리의
통증이 발현한 뒤 그 전에 나타났던 통증이 사라졌다고 느낄 수 있다.
일단 가장 많은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증상으로 제대로 걷지 못하고,
요통과 함께 한쪽 다리의 종아리를 땡기는 듯이 아프고, 저리고 시리며,
심하면 발이나 발가락까지 통증이 있고, 감각마비가 올 수 있다.
환자들은 격심한 통증 때문에 가능하면 허리를 구부리고 엉덩이를 뒤로 빼면서 걷게 되는
구부정한 자세가 되는데, 이러한 자세가 오래되면 허리 근육의 간장으로 인하여 통증이
더욱 악화된다. 이러한 통증 검사는 반듯이 누워 무릎을 편 상태로 서서히 다리를 들어올릴
때, 들어올린 다리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Tip) 신경근이 어느 위치에서 압박을
받는가에 따라 통증 분포가 다르게 나타난다.
4. 진단
- MRI - 신경이 어느 정도 압박을 받고 있는지 염증은 어떤 정도인지를
알 수 있다.
- 근전도 검사 - 신경근 침범유무 및 위치를 확인이 가능하다.
5. 치료
허리의 통증부위와 다리에 나타나는 통증부위에 뜨거운 물, 핫팩, 적외선, 마사지,
지압, 침, 뜸 등을 이용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근육과 신경 등이 이완되게 하고,
통증이 심한 다리를 위로 들어올려 좌골신경이 압박 받는 부위(골반 부위)를 유연하게
하고 허리운동을 삼가고 상 · 하체가 이완되게 하여 척추의 압박부위를 늘려서 요추
사이의 추간판 등 부위의 병변 등이 회복되도록 한다.
혈액이 부족하여 근육의 유연성이 없는 환자 또는 체력이 약화되어 회복이 늦은
환자, 연세가 많은 분들은 각각의 체질에 평형을 이루게 해야 하며, 냉하거나,
습기가 많거나, 순환되지 않는 혈액이 많은 환자는 증상에 맞는 치료약을 투여하는
방법이 있다.
<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법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나 아스피린. 단기 경구 스테로이드, 경막 외 스테로이드
1~2일 동안 침상안정을 취하면 대부분의 추간판 탈출은 합병증 없이 호전되며 디스크
파열시의 심각한 염증반응은 평균 2주 내에 증상이 좋아지지만 만일 좋아지지 않으면
파열 절편이 큰 경우를 의심해야 하며 이때는 수술이 필요하다.
Tip) 추간판 탈출증에 시달리는
인구는 전체 인고의 약 2%이고, 이 중 10~20%만이 증상이 6주 이상 지속되므로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는 아주 소수이다. 따라서 디스크 질환이라고 해서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한다는 인식은 잘못된 것이다.
6. 예방
평상시의 올바른 자세와 체력에 맞는 꾸준한 운동을 해줘야 좌골 신경통을 예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