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정의
관절과 관절 사이에서 존재하는 반월판이 무릎이 비틀리는 등의 관절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나이가 들어 퇴행성 변화가 와서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말한다.
Tip) 무릎 반월판 연골의
기능
① 대퇴골에서 경골로 전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 - 관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
② 슬관절의 안정성 유지
- 타원형의 오목한 구조로서 대퇴
관절면이 안정되게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 그림 1. 무릎 부분을 앞에서
본 모양 ]
[ 그림 2. 무릎 부분을 위에서
본 모양 ]
2. 원인
- 외상 : 30세 이전의 반월판 연골은 매우 단단하여 무릎을 딛은 상태에서
비틀어지는 외상이나 스포츠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 퇴행성 변화 : 나이가 듦에 따른 퇴행성 변화에 의해 쪼그려 앉거나 일어
날 때의 작은 압력에 의해서도 손상이 발생함.
Tip) 연골 파열 양상
① 양동이 손잡이 모양
 (bucket handle)
  - 반월판의 중앙에서 나선상의 파열
② 피판(flap tear)
  - 반월판 내측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파열
③ 퇴행성 파열
  - 연골의 퇴행성 변화에 따라 마모되어 발생하는 파열
3. 증상
- 통증 : 통증은 주로 손상된
연골이 존재하는 관절 면에 발생하고 때로는 관절 전체에 뻐근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 관절 잠김(locking)
: 파열된 연골이 관절 사이에 끼면 무릎을 똑바로 펼 수 없는 관절 잠김이
발생하는데 주로 계단을 내려오거나 울퉁불퉁한 바닥을 걸을 때 발생한다.
- 부종 : 손상 발생시에 연골
자체나 동반된 손상에 의한 출혈에 의해 슬관절의 부종이 발생하고 만성기에는
파열된 연골에 의한 관절의 퇴행변화에 의해 활액의 증가가 발생하여 관절이 붓고
뻣뻣해 진다.
- 관절 불안증(giving way)
: 계단을 내려오거나 불안정한 보행 시 갑자기 무릎에 힘이 빠지고 구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 관절 잡음 : 관절운동 시
덜거덕거리는 잡음이 나타날 수 있다.
4. 진단
- 병력 : 외상의 병력, 관절면의
통증, 관절점감, 관절포기 현상
- 이학적검사 : 세밀한 이학적
검사로 대부분 진단이 가능하다.
- 단순엑스레이 : 반월판 손상의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으나 뼈의 병변을 감별진다.
- 초음파검사 : 초음파검사로
연골을 충분히 검사 할 수 없으나 관절내 부종, 연골의 평행파열, 파열후 낭종형성등을
발견할 수 있다.
- 자기공명검사 : 연골파열의
확진을 위한 검사이고 또한 동반된 인대손상의 확인이 가능하다.
- 관절경 검사 : 파열된 연골을
직접 관찰할 수 있고 동시에 파열된 연골의 제거나 봉합을 시행할 수 있다.
5. 치료
① 보존적치료 : 휴식, 얼음 찜질,
물리치료, 관절 잠김시 도수정복
② 관절경수술
- 반월판연골 절제술 : 파열된
연골을 제거
- 반월판연골 봉합술 : 젊은사람,
급성 손상이 혈관이 존재하는 외측 1/3에 발생시 시행
- 반월판연골 이식술 : 미국의
일부 기관 시행 실험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