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정의
슬개건(무릎 부분)은 대퇴사두근이 슬개골 위를 지나 경골에 붙기 전
슬개골과 경골 사이의 힘줄 부분을 말한다.
슬개건염이란 반복된 점프 등으로 인해 슬개골 아래 부분인 슬개건에
발생된 만성적인 염증이다.
2. 원인
무릎의 통증을 유발하는 슬개골과 관련된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에
속하는 질환이다.
원인은 대퇴 사두근(허벅지 앞에 위치하여 무릎을 펴는 동작을 하는
근육들) 건이 슬개골로 부착하는 부위 혹은 슬개건이 부착되는 슬개골에
가해지는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된다.
3. 증상
- 슬개건 주위의 통증이나 압통
- 슬개건이 경골에 붙는 부위에 종창
- 점프, 달리기, 걷기 특히 내리막길에서
통증
- 다리를 쭉 펴거나 구부릴 때 통증
증상은 슬개골 부위의 동통이며 높이 뛰기나 달리기, 등산 등 심한 반복적 운동을
했을 때 심해진다.
통증은 진행성으로 심한 운동 시에 장애를 초래하기도 하며 만성으로 진행 시에는
슬개건이나 대퇴 사두근의 파열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 질환의 경우 슬개골의 위 또는 아래 부분을 누르거나 깊게 마사지를 하게 되면
압통점을 찾을 수가 있다.
4. 치료
보통 두 가지 방법으로 치료한다.
첫째는 기존요법으로, 쉬고 소염제 복용, 냉치료, 초음파 치료를 하는 것이고,
둘째는 강하게 마찰마사지를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5~7분간 병변 부위를 건과
직각으로 마사지하는데 1주 동안 이틀에 한번 정도 한다.
위 치료와 더불어 점프, 달리기 등은 하지 않아야 한다. 대퇴사두근과 발목을
올리는 근육(발목 배굴근)의 원심성 수축에 의한 강화훈련이 중요하다. 원심성 수축운동은
힘줄(건)을 치유를 촉진 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주로 저-중간 정도의 수준에서
실시해야 한다.
이 운동은 다섯 가지 부분으로 나뉘는 데 준비운동(워밍업), 스트레칭, 원심성
수축 운동, 스트레칭, 냉치료와 같은 순으로 실시한다. 원심성 수축 운동은 서서
구부렸다 펴는 동작으로 실시해야 하고 점차 속도를 증가시켜 나간다. 한 속도에서
10번 반복을 3세트 시행한다. (마지막 단계에서 약간의 통증은 허용된다.)
등속성 원심성 대퇴사두근 수축을 할 수 있다. 이것은 30°/초 속도로 5번을
6세트, 일주에 3번, 8주 동안 시행한다. 또 30°/초, 50°/초, 70°/초에서
5번 반복을 4세트 할 수도 있습니다. 스트레칭은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을 합니다.
건고정 스트랩을 사용 할 수도 있다. 스테로이드 주사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5. 운동
①
그림처럼 앉은 자세에서 손상 받은 다리를 쭉 펴고 대퇴부 근육은 이완시키세요.
② 엄지와 검지손가락을 이용해서 슬개골을 가볍게 누른 후 발쪽으로 미세요.
③ 10초간 유지하세요.
④ 처음 위치로 되돌아오세요.
⑤ 이번에는 반대로 몸통쪽으로 민 후 10초간 유지하세요.
⑥ 다음은 반대편 다리쪽으로 민 후 10초간 유지하세요.
⑦ 5분 동안 반복하세요.
①
발뒤꿈치를 약 15인치 높이에 올려놓으세요.
② 골반을 앞으로 구부려 대퇴부와 허리가 땅겨지는 느낌이 들 때까지 숙이세요.
③ 30 - 60초 정도 유지하세요.
④ 절대 어깨나 머리를 숙이지 마세요.
⑤ 3번 반복하세요.
①
그림과 같이 벽면에서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 건강한 다리로 서세요.
② 건강한쪽 손을 벽면에 지탱하세요.
③ 반대편 손으로 발목을 잡은 뒤 발뒤꿈치가 엉덩이에 닿을 때까지 당기세요.
④ 허리를 구부리거나 뒤틀지 마세요.
⑤ 30초간 유지하세요.
⑥ 3번 반복하세요.
①
그림과 같이 손상 받은 다리를 쭉 펴고 앉으세요.
② 무릎의 반대편이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대퇴부 상부의 근육에 힘을 주세요.
③ 대퇴부 내측의 근육에 집중하세요.
④ 5초간 유지하세요.
⑤ 10번씩 3번 반복하세요.
①
그림처럼 손상 받은 다리는 쭉 펴고 건강한 다리는 발바닥이 지면에 편평한
상태에서 무릎은 약간 구부린 상태로 누으세요.
② 손상 받은 다리를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쭉 들어올리세요.
③ 지면에서 6 - 8인치 정도 들어올리세요.
④ 3 - 5초간 유지한 후 천천히 내리세요.
⑤ 10번씩 3번 반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