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정의
배구, 농구, 테니스, 달리기, 축구 등을 전문으로 하는 운동선수나 춤을 많이
추는 무용가 등이 발꿈치 뒤쪽의 힘줄에 잘 생기는 스포츠 손상의 원인 중 하나가
아킬레스 건염이다.
Tip) 아킬레스(Achilles)의
어원
아킬레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강력한 전사(戰士)이다. 아킬레스
어머니는 아킬레스가 태어나자 마자 육체적으로 불사신(不死身)을 만들기
위해 지옥의 강(Styx)에 몸을 담구었는데 이 때 발목을 잡은 부위가
이 신비한 물에 닿지 않아 그곳만 약점으로 남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나중에 이 부위에 활을 맞아 죽었다는 신화가 있다.
아킬레스건은 장딴지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힘줄(건)로서 우리 몸에서
가장 강력하고 크며 발꿈치뼈에 부착되어 있다.
이 건은 발바닥 굽힘(족저 굴곡 : plantar flexion)을 하는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다. 걷기 시작 할때, 똑 바로 걷는데, 달리기, 점프시에 필수적인 건이다.
2. 원인
아킬레스 건염은 운동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우환으로서 반복적인 족저 굴곡운동을
지속하는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손상의 결과로 생긴다.
운동을 할때 갑작스러운 시작이나 정지, 점프등 아킬레스 건에 스트레스를 줄수
있는 운동이나 굽 높은 신발을 신던 사람이 고무바닥의 운동화로 바꾸어 신었을때
힘줄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어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작은 파열이 힘줄이 발꿈치
뼈의 부착하는 부위 상방에 생기게 된다.
아킬레스 건염이 생길수 있는 요인으로 내적이나 외적인 요인이 있다. 내적요인으로는
나이, 유연성 감소, 건의 혈관 감소, 발이나 다리의 역학적 구조 등이며, 외적
요인으로는 운동 방식의 변화(거리, 강도 증가), 신발의 변화, 달리는 곳의 표면
변화등도 고려할 수 있다.
3. 증상
- 대부분 증상이 서서히 나타난다.
- 운동 전 후에 통증
- 달리기나 점프 같은 행동을 할때 통증이 생기고 어렵게 된다.
- 굳어지는 느낌
- 통증부위에 빨갛고 열이 난다.
- 발목을 움직일때 소리가 난다.
- 부종
- 6주 이상 만성으로 진행되면 건이 약해져 파열될 가능성도 있다.
4. 진단
아킬레스 건의 손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아픈 부위를 촉진
- 톰손 검사(Thompson's test) : 종아리 근육을 쥐어 짜면
정상인은 발이 족저굴곡이 일어난다. 만약 아킬레스건이 파열되면 굴곡이 일어나지
않는다.
- 아킬레스 건을 촉진시 전체 건이 두꺼워져있다.(결절)
-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근골격 접합부에 압통점
- x-ray 촬영 : 만성일 경우 건의 석회화
- 초음파 검사
5. 치료
치료는 손상의 정도에 따라 선택한다.
손상이 적으면 안정, 얼음찜질, 압박, 거상(RICE)의 코스를 따른다.
- 안정 : 건의 염증을 줄이기 위해 운동을 중지하고 안정을 취한다.
- 얼음 찜질 : 하루나 이틀 정도 부종을 줄이기 위해 매 한시간 마다 20분씩
- 압박 : 탄력붕대로 무릎과 다리를 고정
- 거상 : 손상된 부위에 피가 고이지 않고 부기를 줄여준다.
- 자기 스스로 마사지
- 비스테로이드 진통소염제(NSAIDs)
- Steroid 주사는 건 파열의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
- 물리 치료
- 이상의 일반적인 치료로도 효과가 없을때는 약 8주간 석고 고정
- 근육내 자극요법(FIMS)이나 인대강화요법 :효과적
- 수술
6. 예방
- 적합한 굽이 낮은 신발
- 적절한 운동 방법
- 운동을 시작하기전 충분한 준비 운동 및 적절한 스트레칭(마사지, 가벼운
조깅, 가벼운 스트레칭, 거수 도약 운동)
- 만약 이러한 준비 운동시 통증이 있을때는 즉시 운동을 멈춘다.
- 수영, 풀장 안에서 달리기,낮은 기아에서 자전거 타기,이상과 같이 체중이
실리지 않는 운동을 선택
7. 운동
- 그림처럼 마룻바닥에 손상받은 다리를 쭉 펴고 앉으세요.
- 무릎을 쭉 편 상태에서 발바닥을 타월로 감싼 뒤 몸쪽으로 당기세요.
- 30초간 유지하세요.
- 3번 반복하세요.
- 그림처럼 벽을 바라보고 양 손을 눈높이에서 벽에 놓으세요.
- 손상 받은 다리는 뒤로, 건강한 다리는 앞으로 하고 손상 받은
다리의 발뒤꿈치가 마루에 닿게 하세요.
- 장딴지가 땅기는 느낌이 들 때까지 벽면에 천천히 체중을 기대면서
손상 받은 발을 살짝 안쪽으로 돌리세요.
- 30초간 유지하세요.
- 그림처럼 벽을 바라보고 양 손을 가슴높이에서 벽에 놓으세요.
- 양쪽 무릎을 살짝 굽히고 손상 받은 발을 뒤로 한 상태에서
장딴지 아래가 땅기는 느낌이 들 때까지 벽면에 천천히 체중을 기대세요.
- 발뒤꿈치가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발까락을 살짝 안으로 돌리세요.
- 30초간 유지하세요.
- 처음 자세로 돌아오세요.
- 3번 반복하세요.
- 그림처럼 손상 받은 발을 계단에 놓고 발까락을 살짝 바깥으로
돌리세요.
- 발바닥의 곡면이 땅기는 느낌이 뜰 때까지 발뒤꿈치가 밑에 닿게
하세요.
- 30초간 유지한 뒤 이완 하세요.
- 3번 반복하세요.
- 그림처럼 정상 체중부하 자세로 서세요.
- 발뒤꿈치를 뒤로 흔들어 발까락이 지면에서 떨어지게 하세요.
- 5초간 유지하세요.
- 10번씩 3번 반복하세요.
- 그림처럼 정상 체중부하 자세로 서세요.
- 발뒤꿈치를 들어 발가락으로 서세요.
- 5초간 유지하세요.
- 10번씩 3번 반복하세요.
- 그림처럼 아무 써포트없이 손상 받은 다리로 균형을 잡고 서세요.
- 눈을 뜨고 시작한 뒤 눈을 감고 시도하세요.
- 30초간 손상 받은 다리로 서세요.
- 3번 반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