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정의
가장 흔한 스포츠 손상이다.
발목 관절을 붙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대의 신전, 열상, 또는 완전한 파열을
말한다. 발목염좌의 가장 흔한 형태는 내반 염좌-발목의 바깥쪽을 안쪽으로 말릴
때 이다. 이때 가장 흔히 손상되는 인대는 전방 경비골 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이다. 약 20%에서 동시에 종비골 인대(Calcaneofibular
lig.)도 함께 다친다.
2. 원인
발목 바깥쪽 위로 굴러 넘어질 때 관절 운동범위 이상 초과한다.
발목의 손상이 일어나는 두 가지 흔한 시나리오는 야구선수가 점프한 후 다른 선수의
발을 밟을 때 또는 습관적으로 발을 내디딜 때이다. 주로 야구선수, 또는 달리기와
점프를 포함하는 스포츠에 참여하는 선수가 해당된다.
발목 염좌는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는다면 만성적인 불안정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염좌의 재발이 일어날 수 있다.
염좌를 일으키는 같은 기전으로 골절이 생길 수 있다. 심한 부종이나 통증을 동반하는
염좌의 경우 골절을 구분하기 위해 x-ray 검사가 필요하다.
내반 염좌는 비골근전(peroneal terdons)을 고정하는 구조물인 비골근건
지대(peroneal retinaculum)의 열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것은
재발하는 비골근건의 아탈구 상태가 되게 한다.
3. 증상
- 1도 염좌 : 통증, 장애, 압박통 그리고 국소 부종이 경하다, 발목에
불안정 멍, 기능손실이 거의 없다.
- 2도 염좌 : 발목이 접질러질 때 찢어지는 느낌, 소리 등이 느껴진다.
발목에 부종, 압박통이 있고, 손상이 일어난 3-4일 뒤에 멍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걷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 3도 염좌 : 많은 경우 관절이 아탈구 된다. 발목관절의 전체 바깥면에
부종과 압박통이 있고 관절이 불안정 상태가 된다. 발목을 사용하여 걷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인대가 완전히 파열된다.
4. 진단
손상 방향에 따라 손상 받는 인대의 종류가 다르고 각 손상의 종류 별로 검사하는
방법이 다르다.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전방 전위 검사, 거골 경사 검사, Clunk 검사, 압박
검사, 외반 검사 등이 있다. 단순 방사선 검사는 2도 이상의 손상이 의심될 때
시행한다.
5. 치료
발목 염좌의 치료는 초기에는 한냉 요법, 압박, 거상, 소염제 등 부종과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를 한다. 골절이 동반되지 않은 염좌는 조기에 관절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추천되며, 보조기나 탄력 붕대 등을 이용한 지지가 필요하지만 석고
붕대는 회복을 지연한다는 보고도 있다.
목발은 통증으로 완전한 체중 부하가 어렵거나 손상을 악화시킬 정도로 보행의
이상이 심할 때 사용한다.
근력 강화 운동은 내반근, 외반근, 족저 굴곡근(발을 아래로 내리는 근육),
배측 굴곡근(발을 위로 올리는 근육) 등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고관절 외전근도
포함시켜야 한다. 고무줄을 사용하거나, 뒤꿈치 들기, 부분적으로 쪼그려 앉기 등의
방법이 있다. 균형판에서의 훈련은 위치 감각의 훈련과 근력 훈련을 겸할 수 있다.
- 1도 손상 후에는 손상 후 24시간 이내에 3단계 재활운동을 시작한다.
(회복기간 : 4~6주)
- 2도 손상 후에는 24-48시간 이내에 2단계 재활운동을 시작한다. (회복기간
: 4~8주)
- 3도 손상 시 손상 1-3주 후에 1단계 운동을 시작한다. 앞에서 기술된
운동 외에 고정자전거 타기, 내반/외반동작 운동, 흔들판 운동을 실시한다.
(회복기간 : 6~12주)
6. 운동
① 한발로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② 몸의 균형을 잃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하고, 한번 실시할 때 5회를
반복한다.
④ 1회 동안 60초를 유지하고, 1회 실시한 후 60초간 쉰다.
① 탄력 밴드를 준비한다.
② 탄력 밴드의 한쪽에 다리를 걸고 다른 한쪽은 벽이나 기둥 등에
고정한다.
③ 전후,좌우 방향으로 한쪽 다리를 움직인다.
④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⑤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탄력 밴드를 준비한다.
② 탄력 밴드를 벽에 고정한 후, 한쪽 발로 바로 선 자세를 잡는다.
③ 체중을 지탱하는 다리쪽의 손에 탄력 밴드를 쥐고 점차적으로 벽
반대쪽으로 상체를 기울인다.
④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⑤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한쪽 발로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② 공이나 기타 물건을 양손에 들고 한쪽 발로 몸의 균형을 유지한다.
③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④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공(농구공 또는 배구공)을 준비한다.
② 벽에 옆에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③ 천천히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벽에 공을 던지고 받는 동작을
실시한다.
④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⑤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한쪽 다리를 들고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동시에 몸을 지탱하는
다리쪽의 팔을 전방으로 90도 정도 들어올린다.
② 천천히 시계의 시간(9->12->3->6시)방향에 맞추어 팔을
움직여 본다. 이때 몸의 균형을 잃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④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균형판 위에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균형판이 없는 경우 스케이트
보드를 이용하셔도 무방하다.
② 몸의 균형을 잃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④ 한번 실시할 때 3번를 반복한다.
⑤ 1회 동안 2분을 유지하고, 1회 실시한 후 1분간 쉰다.
① 등받이가 있는 의자의 등받이을 양손으로 잡고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② 한쪽 다리의 무릎을 구부려 반대쪽 다리에 체중을 실리도록 하고
천천히 체중을 지탱하는 발목을 천장쪽으로 끌어당겨 올린다.
③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④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등받이가 있는 의자의 등받이를 양손으로 잡고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② 양쪽 발목을 천천히 천장쪽으로 끌어올린다.
③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④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의자에 바로 앉은 자세를 취한다.
② 바닥 위에 수건(발바닥과 바닥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을
깔고 그 위에 한쪽 발을 올려 놓는다.
③ 천천히 바깥쪽으로 발을 민다.
④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⑤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똑바로 상체를 세우고 바로 걷는 동작을 실시한다.
②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③ 한번 실시할 때 5분 정도 한다.
① 나무 도막(스텝퍼)을 준비한다.
② 나무 도막을 옆에 두고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③ 정확하게 옆으로 뛰어 나무 도막에 올라선다.
④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⑤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나무 도막(스텝퍼)을 준비한다.
② 나무 도막을 앞에 두고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③ 정확하게 앞으로 뛰어 나무 도막에 올라선다.
④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⑤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나무 도막(스텝퍼)을 준비한다.
② 나무 도막을 옆에 두고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③ 가볍게 옆으로 한발짝 옮겨 놓는다.
④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⑤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벽을 등뒤에 두고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② 양발 사이에 쿠션을 배치하고 등을 벽에 기대고 약간 무릎을 구부린
자세를 취한다.
③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④ 한번 실시할 때 3회를 반복한다.
⑤ 1회 동안 1분을 유지하고, 1회 실시한 후 1분간 쉰다.
① 까치발을 하고 똑바로 걷는 동작을 실시한다.
②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③ 한번 실시할 때 1회를 실시한다.
④ 1회 동안 5분간 걷는다.
① 바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② 한쪽 무릎을 구부리고 전방으로 한걸음 옮겨 놓는다.
③ 천천히 상체를 세우고 전방으로 상체를 이동시킨다.
④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⑤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바닥 혹은 나무 도막 위에 발 뒤꿈치를 배치하고 전방에는 등받이가
있는 의자를 가져다 놓고 등받이에 손을 올려 놓는다.
② 천천히 체중이 실린 다리의 발목을 천장쪽으로 끌어올린다.
③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④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등받이가 있는 의자를 전방에 배치하고 양손을 등받이에 가져다 놓는다.
② 천천히 뒤꿈치를 끌어올린다.
③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④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
① 계단 모서리에 발끝으로 선 자세를 취한다.
② 천천히 뒤꿈치를 끌어올린다.
③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에 실시한다.
④ 한번 실시할 때 10회를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