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업별 자세 분석결과
작목별 농작업 자세에 인간공학적 분석결과를 제공합니다.
-
농작업 자세를 선택하세요.
-
※ 인간공학 분석 분석도구설명
작목 | 작업명 | 단위 작업명 | REBA | OWAS | 주관적 노동강도 | ||
---|---|---|---|---|---|---|---|
참외 | 접목 | 모종놓아두기 | 평가결과 | 조치수준 | 평가결과 | 조치수준 | 4.0 |
11 | 4 | 4171 | 2 |
OWAS(Ovako Working Posture Analysing System)!
핀란드의 제철회사(Ovako Oy)에 근무하고 있던 Karhu와 핀란드 노동 위생 연구소(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의 Kuorinka에 의해 1973년에 개발 되었다.
이 기법을 처음으로 소개한 Karhu의 1977년의 논문에서는 자세 분류밖에 기재되고 있지 않았지만, Stoffert의 1985년의 논문에서는 평가법까지 포함한 완전한 방법이 상술 되고 있다.
측정자간의 자세 판별의 일치율은 90% 이상으로 높고, 20개 이상의 업종에서 테스트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OWAS를 통한 작업조사나 작업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기법을 이용하면 요통이나 어깨, 팔, 목 관련 재해와 같은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이 되는 나쁜 자세를 평가 할 수 있다.
OWAS는 작업 시작점의 작업 자세를 허리, 상지, 하지, 무게의 4개 항목으로 나누어 자세코드로 기록한다.
세 기록은 Snap-reading법(관찰 간격이 일정한 워크 샘플링법의 일종)을 이용한다.
OWAS 코드 측정 및 기록
OWAS 기법은 작업자의 자세를 일정간격으로 관찰하여서, 각 자세를 기록하여 이 자료를 분석하는 작업 샘플링(work sampling)을 기본으로 한다. 즉, 녹화된 작업장면을 일정간격으로 정지시키고, 작업자의 자세를 관찰하여 허리, 팔, 다리, 그리고 하중/힘에 해당하는 OWAS 코드를 기록한다.
작업자세 측정 간격(sampling interval)은 작업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작업의 특성상 작업 자세가 자주 바뀌는 작업의 경우에는 5-10초 이내의 짧은 측정 간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자세가 자주 바뀌지 않고 지속시간이 긴 경우에는 10초 이상 상대적으로 긴 측정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작업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측정 간격을 짧게 해서 데이터 수를 늘리는 것이 좋으며, 작업시간이 긴 경우에는 측정 간격을 늘려서 데이터 규모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참고자료
신체부위 | 코드 | 설명 |
---|---|---|
허리 |
1 |
곧바로 편 자세 (서 있음) |
2 |
상체를 앞으로 굽힌 자세 | |
3 |
바로 서서 허리를 옆으로 비튼 자세 | |
4 |
상체를 앞으로 굽힌 채 옆으로 비튼 자세 | |
팔 |
1 |
양손을 어깨 아래로 내린 자세 |
2 |
한 손만 어깨 위로 올린 자세 | |
3 |
양손 모두 어깨 위로 올린 자세 | |
다리 |
1 |
의자에 앉은 자세 |
2 |
두 다리를 펴고 선 자세 | |
3 |
한 다리로 선 자세 | |
4 |
두 다리를 구부린 자세 | |
5 |
한 다리로 서서 구부린 자세 | |
6 |
무릎 꿇는 자세 | |
7 |
걷기 | |
하중/힘 |
1 |
10kg 이하 |
2 |
10-20kg | |
3 |
20kg 이상 |
작업자세수준 | 평가내용 |
---|---|
수준1 |
- 근골격계에 특별한 해를 끼치지 않음 - 작업자세에 아무런 조치도 필요치 않음 |
수준2 |
- 근골격계에 약간의 해를 끼침 - 가까운 시일 내에 작업자세의 교정이 필요함 |
수준3 |
- 근골격계에 직접적인 해를 끼침 - 가능한 빨리 작업자세를 교정해야 함 |
수준4 |
- 근골격계에 매우 심각한 해를 끼침 - 즉각적인 작업자세의 교정이 필요함 |
AC값 | 다리 | |||||||||||||||||||||||
---|---|---|---|---|---|---|---|---|---|---|---|---|---|---|---|---|---|---|---|---|---|---|---|---|
(1) | (2) | (3) | (4) | (5) | (6) | (7) | ||||||||||||||||||
하중/힘 | ||||||||||||||||||||||||
(1) | (2) | (3) | (1) | (2) | (3) | (1) | (2) | (3) | (1) | (2) | (3) | (1) | (2) | (3) | (1) | (2) | (3) | (1) | (2) | (3) | ||||
허리 | (1) | 팔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2 |
2 |
2 |
2 |
2 |
2 |
1 |
1 |
1 |
1 |
1 |
1 |
(2) |
1 |
1 |
1 |
1 |
1 |
1 |
1 |
1 |
1 |
2 |
2 |
2 |
2 |
2 |
2 |
1 |
1 |
1 |
1 |
1 |
1 |
|||
(3) |
1 |
1 |
1 |
1 |
1 |
1 |
1 |
1 |
1 |
2 |
2 |
2 |
2 |
2 |
2 |
1 |
1 |
1 |
1 |
1 |
1 |
|||
(2) | (1) |
2 |
2 |
3 |
2 |
2 |
3 |
2 |
2 |
3 |
3 |
3 |
3 |
3 |
3 |
3 |
2 |
2 |
2 |
2 |
3 |
3 |
||
(2) | 2 |
2 |
3 |
2 |
2 |
3 |
2 |
3 |
3 |
3 |
4 |
4 |
3 |
4 |
4 |
3 |
3 |
4 |
2 |
3 |
4 |
|||
(3) | 3 |
3 |
4 |
2 |
2 |
3 |
3 |
3 |
3 |
3 |
4 |
4 |
4 |
4 |
4 |
4 |
4 |
4 |
2 |
3 |
4 |
|||
(3) | (1) | 1 |
1 |
1 |
1 |
1 |
1 |
1 |
1 |
2 |
3 |
3 |
3 |
4 |
4 |
4 |
1 |
1 |
1 |
1 |
1 |
1 |
||
(2) | 2 |
2 |
3 |
1 |
1 |
1 |
1 |
1 |
2 |
4 |
4 |
4 |
4 |
4 |
4 |
3 |
3 |
3 |
1 |
1 |
1 |
|||
(3) | 2 |
2 |
3 |
1 |
1 |
1 |
2 |
3 |
3 |
4 |
4 |
4 |
4 |
4 |
4 |
4 |
4 |
4 |
1 |
1 |
1 |
|||
(4) | (1) | 2 |
3 |
3 |
2 |
2 |
3 |
2 |
2 |
3 |
4 |
4 |
4 |
4 |
4 |
4 |
4 |
4 |
4 |
2 |
3 |
4 |
||
(2) | 3 |
3 |
4 |
2 |
3 |
4 |
3 |
3 |
4 |
4 |
4 |
4 |
4 |
4 |
4 |
4 |
4 |
4 |
2 |
3 |
4 |
|||
(3) | 4 |
4 |
4 |
2 |
3 |
4 |
3 |
3 |
4 |
4 |
4 |
4 |
4 |
4 |
4 |
4 |
4 |
4 |
2 |
3 |
4 |
허리 |
|
팔 |
다리 |
하중/힘 |
---|
REBA의 개요
근골격계질환(직업성상지질환)과 관련한 위해인자에 대한 개인작업자의 노출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특히 상지작업을 중심으로 한 RULA와 비교하여 예측하기 힘든 다양한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업종에서의 전체적인 신체에 대한 부담정도와 위해인자에의 노출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REBA는 크게 신체부위별 작업자세를 나타내는 그림과 4개의 배점표로 구성되어있다.
평가대상이 되는 주요 작업요소로는 반복성, 정적작업, 힘, 작업자세, 연속작업 시간 등이 고려되어 지게 된다.
평가방법은 신체부위별로 A와 B그룹으로 나누어지고 A, B의 각 그룹별로 작업자세 그리고 근육과 힘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진다.
평가결과는 1에서 15점 사이의 총점으로 나타내어지며 점수에 따라 5개의 조치단계로 분류된다.
REBA의 평가절차
REBA에 의한 작업자세 평가는 작업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행해지는 자세나 작업 부하가 가장 많이 걸리는 자세를 선택하여 평가한다.
평가할 때 한번에 작업자의 오른쪽이나 왼쪽 중 한쪽만을 평가하고, 다음에 다른 쪽을 평가한다.
작업평가를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캠코더로 촬영을 할 경우 좌우 3 사이클 이상을 촬영한다.
실제 평가는 REBA평가 용지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항목들을 기록하고 점수를 산출하면 된다.
그룹A 평가
지수 | 작업자세설명 |
---|---|
1 | 곧바로 선자세 |
2 | 0-20도 구부리거나 0-20도 뒤로 젖힘 |
3 | 20-60도 구부리거나 20도 이상 뒤로 젖힘 |
4 | 60도 이상 구부림 |
+1 | 몸통이 비틀리거나 옆으로 구부러질 때 |
지수 | 작업자세설명 |
---|---|
1 | 곧바로 선자세 |
2 | 0-20도 구부리거나 0-20도 뒤로 젖힘 |
3 | 20-60도 구부리거나 20도 이상 뒤로 젖힘 |
4 | 60도 이상 구부림 |
+1 | 목이 비틀리거나 옆으로 구부러질 때 |
지수 | 작업자세설명 |
---|---|
1 | 두 다리가 모두 나란하거나 걷거나 앉아 있을시 |
2 | 발바닥이 한발만 땅에 지지되어질시 |
+1 | 무릎이 30-60도 사이로 구부러질시 |
+2 | 무릎이 60도 이상 구부러질시(앉은자세 제외) |
그룹A 점수 평가
그룹A | 목 | |||||||||||
---|---|---|---|---|---|---|---|---|---|---|---|---|
몸통 | 1 | 2 | 3 | |||||||||
다리 | 다리 | 다리 |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
1 | 1 | 2 | 3 | 4 | 1 | 2 | 3 | 4 | 3 | 3 | 5 | 6 |
2 | 2 | 3 | 4 | 5 | 3 | 4 | 5 | 6 | 4 | 5 | 6 | 7 |
3 | 2 | 4 | 5 | 6 | 4 | 5 | 6 | 7 | 5 | 6 | 7 | 8 |
4 | 3 | 5 | 6 | 7 | 5 | 6 | 7 | 8 | 6 | 7 | 8 | 9 |
5 | 4 | 6 | 7 | 8 | 6 | 7 | 8 | 9 | 7 | 8 | 9 | 9 |
무게/힘 평가
5 kg 미만 | 5-10 kg | 10 kg 이상 | 충격 또는 갑작스런 힘의 상용 |
---|---|---|---|
0 | 1 | 2 | +1 |
그룹B 평가
지수 | 작업자세설명 |
---|---|
1 | 20도 뒤로 젖혀지거나 앞으로 20도 들림 |
2 | 20도 이상 뒤로 젖혀지거나 앞으로 20-45도 들림 |
3 | 앞으로 45-90도 들림 |
4 | 앞으로 90도 이상 들림 |
+1 | 윗팔이 벌어지거나 회전시 |
+1 | 어깨가 들려진다면 |
-1 | 팔이 무언가에 지탱되거나 기대어질 시 |
지수 | 작업자세설명 |
---|---|
1 | 60-100도 사이의 들림 |
2 | 100도 이상의 들림이거나 0-60도의 들림 |
지수 | 작업자세설명 |
---|---|
1 | 0-15도 사이의 꺾임이나 들림 |
2 | 15도 이상의 꺾임이나 들림 |
+1 | 손목이 비틀어질 시 |
그룹B 점수 평가
그룹B | 아래팔 | |||||
---|---|---|---|---|---|---|
윗팔 | 1 | 2 | ||||
손목 | 손목 | |||||
1 | 2 | 3 | 1 | 2 | 3 | |
1 | 1 | 2 | 2 | 1 | 2 | 3 |
2 | 1 | 2 | 3 | 2 | 3 | 4 |
3 | 3 | 4 | 5 | 4 | 5 | 5 |
4 | 4 | 5 | 6 | 5 | 6 | 7 |
5 | 6 | 7 | 8 | 7 | 8 | 8 |
6 | 7 | 8 | 8 | 8 | 9 | 9 |
손잡이 평가
좋음 | 보통 | 나쁨 | 채택할수 없음 |
---|---|---|---|
무게중심에 위치한 튼튼하고 잘 고정된 적절한 손잡이가 있는 경우. | 어느정도 적절한 손잡이가 있는 경우이거나 대상물의 한 부위가 손잡이 대용으로 사용 가능한 경우. | 비록 들 수는 있으나 손으로 들기에 적절하지 않고 손잡이가 있으나 부적절한 경우. | 손잡이가 없거나 위험한 형태의 손잡이가 있는 경우. |
총괄적 작업 부하 결정(점수C)
점수A | |||||||||||||
---|---|---|---|---|---|---|---|---|---|---|---|---|---|
점수B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1 | 1 | 1 | 1 | 2 | 3 | 3 | 4 | 5 | 6 | 7 | 7 | 7 | |
2 | 1 | 2 | 2 | 3 | 4 | 4 | 5 | 6 | 6 | 7 | 7 | 8 | |
3 | 2 | 3 | 3 | 3 | 4 | 5 | 6 | 7 | 7 | 8 | 8 | 8 | |
4 | 3 | 4 | 4 | 4 | 5 | 6 | 7 | 8 | 8 | 9 | 9 | 9 | |
5 | 4 | 4 | 4 | 5 | 6 | 7 | 8 | 8 | 9 | 9 | 9 | 9 | |
6 | 6 | 6 | 6 | 7 | 8 | 8 | 9 | 9 | 10 | 10 | 10 | 10 | |
7 | 7 | 7 | 7 | 8 | 9 | 9 | 9 | 10 | 10 | 11 | 11 | 11 | |
8 | 8 | 8 | 8 | 9 | 10 | 10 | 10 | 10 | 10 | 11 | 11 | 11 | |
9 | 9 | 9 | 9 | 10 | 10 | 10 | 11 | 11 | 11 | 12 | 12 | 12 | |
10 | 10 | 10 | 10 | 11 | 11 | 11 | 11 | 12 | 12 | 12 | 12 | 12 | |
11 | 11 | 11 | 11 | 11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행동점수 결정
정적/반복성, 작업공간, 불안정한 하체 작업자세등을 고려하여 행동점수를 결정한다.
+1 | 한군데 이상 신체부위가 고정되어있는 경우 |
---|---|
+1 | 좁은 범위에서 반복적인 작업을 하는 경우 |
+1 | 급하게 넓은 범위에서 변화되는 행동 또는 불안정한 하체의 자세 |
조치수준
점수 C와 행동점수를 더하여 REBA점수를 산출한 후 다음 표에 대입하여 작업의 위험수준과 조치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조치단계 | REBA 점수 | 위험단계 | 조치 (추가정보조사 포함) |
---|---|---|---|
0 | 1 | 무시해도 좋음 | 필요없음 |
1 | 2-3 | 낮음 | 필요할지도 모름 |
2 | 4-7 | 보통 | 필요함 |
3 | 8-10 | 높음 | 곧 필요함 |
4 | 11-15 | 매우높음 | 지금 즉시 필요함 |
주관적 노동강도
각각의 작업별로 본인이 느끼는 힘들기를 7점 척도를 활용하여 주관적 노동강도를 조사
작업명 | 본인이 느끼는 힘들기 | ||||||
---|---|---|---|---|---|---|---|
약함 | 보통 | 힘듦 | 많이힘듦 | ||||
A작업 | 1 | 2 | 3 | 4 | 5 | 6 | 7 |